분류 전체보기60 채권 투자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올리네요. 오늘은 채권 투자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목차 채권이란 채권 이야기 요약 1. 채권이란 "국가·지방 자치 단체·은행·회사 등이 필요한 자금을 차입(借入)할 때에 발행하는 공채(公債)·사채(社債) 등의 유가 증권." oxford 사전에서의 채권 정의입니다. 말이 꽤 복잡하죠? 쉽게 말하자면 '돈 받을 권리'입니다. 제가 채권을 발행해서 판다면, 제 돈을 받을 권리를 파는 거죠. 반대로 채무는 돈을 갚아야 할 의무입니다. 채권을 발행하게 되면, 저는 채무가 생기고 채권을 받거나 산 주체는 채권자가 되는 거죠. 이제 채권의 성질을 조낙타, 조거북, 은행 세 주체가 등장하는 이야기로 알아봅시다. 2. 채권 이야기 조낙타라는 사람이 100원을 이자율 3퍼센트에 10년 만기로.. 2022. 5. 25. 클레이튼 레버리지 풀 예치하기(3. 풀 예치 후기) 수익 저번 게시물을 올린 지 22일 정도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대략 클레이 스왑 풀에 예치한 지 25일 정도 된 걸로 생각합니다. 그동안 보상이 얼마나 누적되었는지 봅시다. 약 0.35 KSP, 즉 2.4달러 정도 쌓였습니다. 예상 총수익률이 적혀있습니다만, 풀 규모와 내 예치 자산의 비율에 따라 수익률은 변합니다. 고정 수익률이 아닌 거죠. 지금까지 누적된 보상을 기반으로 APY를 계산해봅시다. 33.93달러를 예치금으로, 2.4달러가 20일 동안 쌓였으므로 20일간 수익률은 약 7.1%입니다. 그러므로 1일 수익률은 약 0.35%인 거죠. 지금 구한 수익률로 1년간 유지하면 APY는 약 129%입니다. 예상 수익률과 엄청난 괴리가 존재합니다. 아마 제가 예치한 기간 동안 KSP 가격 자체의 상승 때문.. 2022. 3. 24. 클레이튼 레버리지 풀 예치하기(2. 풀 예치 하기) 클립 지갑 만들기 이번에는 클레이튼 메인넷의 클레이튼 스왑에서 스테이킹을 해보겠습니다. 일단 카카오톡에서 클립 지갑을 만들어줘야합니다. 이렇게 들어가서 카카오 클립(klip) 지갑을 만들어주세요. 자세한 지갑 생성 과정은 생략하겠지만 메타마스크나 다른 지갑을 쓰는것보다 카카오 클립 지갑을 쓰는게 컨트랙트 보안인증에 편리합니다. 클레이스왑 선택한 이유 클레이스왑, 암호화폐 22억원어치 털렸다…"이용자 보상안 준비" 외부망 해킹으로 비정상 출금 407건 발생 입력 :2022/02/04 09:14 수정: 2022/02/04 15:59 김윤희 기자 사실 최근에 클레이스왑이 해킹당했다고 합니다. 근데 이렇게 기사 제목을 지어도 되나 싶습니다. '클레이 스왑이 해킹당했다' 라고 말하지만 클레이튼 메인넷의 스마크 컨.. 2022. 3. 2. 볼린저 밴드와 현금흐름 지표를 이용해 매수, 매도 타이밍 구하기 이번에는 마리아디비에 저장한 시세 데이터로 매수, 매도 타이밍을 구해보겠습니다. 전략은 볼린저 밴드, 현금흐름지표를 이용하겠습니다. 볼린저밴드의 %B는 가격의 볼린저밴드 속 가격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냅니다. 선택한 지표는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MarketDB2 mk = MarketDB2.MarketDB() df = mk.getDailyPrice('000020', '2019-10-14', '2022-02-25') df['MA20'] = df['close'].rolling(window=20).mean() # rolling 과 window 를 이용하여 몇개의 데이터로 평균을 낼지 정한다. df['stddev'] = df['close'].r.. 2022. 3. 2.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