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
저번 게시물을 올린 지 22일 정도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대략 클레이 스왑 풀에 예치한 지 25일 정도 된 걸로 생각합니다.
그동안 보상이 얼마나 누적되었는지 봅시다.

약 0.35 KSP, 즉 2.4달러 정도 쌓였습니다.
예상 총수익률이 적혀있습니다만,
풀 규모와 내 예치 자산의 비율에 따라 수익률은 변합니다.
고정 수익률이 아닌 거죠.
지금까지 누적된 보상을 기반으로
APY를 계산해봅시다.
33.93달러를 예치금으로, 2.4달러가 20일 동안 쌓였으므로
20일간 수익률은 약 7.1%입니다.
그러므로 1일 수익률은 약 0.35%인 거죠.
지금 구한 수익률로 1년간 유지하면 APY는 약 129%입니다.
예상 수익률과 엄청난 괴리가 존재합니다.
아마 제가 예치한 기간 동안 KSP 가격 자체의 상승 때문인 것 같습니다.

차트는 코인마켓 캡에서 가져왔습니다.
전에 올린 글 중 트레이딩 뷰의 API를 이용한 차트 띄우기를 했었는데,
KSP차트는 없는 것 같네요.
아쉽습니다.
한 달이 거의 다 되어가는 시점에서
아직까지 아무 문제없이 쌓이고 있습니다. 누적 보상은 바이낸스로 옮겨
레버리지 트레이딩을 하거나,
풀 예치 자산에 추가하여 자산 활용 비율을
낮춰야겠습니다.
자산 활용비율

자산 운용비율이 80%를 넘어가게 되면
자동으로 예치금이 반환되며
20%의 수수료가 지불됩니다. 그래서 자산 활용비율이 80%를 넘어가지 않도록
적절히 관리해줘야 하는데,
제가 워낙 높은 레버리지로 예치를 해놔서
항상 70% 이하로 내려오지 않습니다.
예치 도중 운용비율을 낮출 수 있는 방법도
다음번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싱가포르 거래소 파이오닉스에도 자동 매매 봇,
펀딩 피 투자 등 다양한 상품이 있어 한번 다뤄야 할 것 같습니다.
'암호화폐 > 채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레이튼 레버리지 풀 예치하기(2. 풀 예치 하기) (0) | 2022.03.02 |
---|---|
클레이튼 레버리지 풀 예치하기(1. 스테이킹, 풀 예치 이해하기) (0) | 2022.03.02 |
앉아서 공짜로 돈벌기 (!!!) (0) | 2022.02.16 |
댓글